주요 용어
- GHG(Green House Gas) : 온실가스,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대기중의 가스형태의 물질로 UN IPCC에서는 6대 온실가스를 규정
CO2(이산화탄소), CH4(메탄) N2O(아산화질소), HFCs(수소불화탄소), PFCs(과불화탄소), SF6(육불화황)
- BAU(Business As Usual) : 현행 정책 이외에 추가적인 온실가스 감축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한 미래 배출량 전망치
- IPCC(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) : 기후변화 관련 정부간 협의체 [세계기상기구(WMO)와 유엔환경계획(UNDP)이 공동으로 설립]
- UNFCCC(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) : 유엔기후변화협약, 지구온난화를 줄이기 위한 국제 협약으로 ’92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채택
- NDC(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) : 국가 자발적 감축기여, 유엔기후변화협약 각 당사국이 자국의 상황과 역량을 감안하여 자체적으로 정한 감축에 대한 목표
- CER(Certified Emission Reduction) : 탄소배출권, UN에서 인증한 온실가스 감축량
- ETS(Emissions Trading System) : 배출권거래제
- KAU(Korean Allowance Unit) : 할당배출권
- KCU(Korean Credit Unit) : 상쇄배출권
- KOC(Korean Offset Unit) : 외부사업 감축량
- CDM(Clean Development Mechanism) : 청정개발체제,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온실가스 감축사업 제도로 UNFCCC에 등록해 진행
- 전환부문 : 발전과 집단에너지로 구성, 석탄·가스 등의 연료원이 전기와 열에너지로 전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환부문 이라고 명명
- 외부사업 :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 조직경계 외부의 배출활동 등에서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사업
주요 통계
주요국 온실가스 감축 목표
국가 | 기준연도 | 감축목표(%) | 목표연도 | |
---|---|---|---|---|
한국 | 태극기 |
BAU |
37 |
2030 |
EU | EU국기 |
1990 |
40 |
2030 |
미국 | 미국국기 |
2005 |
26∼28 |
2025 |
러시아 | 러시아국기 |
1990 |
25∼30 |
2030 |
캐나다 | 캐나다국기 |
2005 |
30 |
2030 |
중국 | 중국국기 |
2005 |
60∼65 |
2030 |
일본 | 일본국기 |
2013 |
26 |
2030 |
감축목표 : 중국은 GDP단위당 배출량, 그 외 국가는 기준연도 대비 배출량 기준
국내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
(단위 : 백만톤CO2-eq)
분야 | 1990 | 2000 | 2010 | 2015 | 2016 | 2017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에너지 | 240.4 |
411.8 |
566.1 |
600.8 |
602.7 |
615.8 |
산업공정 | 20.4 |
51.3 |
54.7 |
54.4 |
52.8 |
56.0 |
농업 | 21.0 |
21.2 |
21.7 |
20.8 |
20.5 |
20.4 |
폐기물 | 10.4 |
18.8 |
15.0 |
16.3 |
16.5 |
16.8 |
계 | 292.2 |
503.1 |
657.6 |
692.3 |
692.6 |
709.1 |
출처 : 2019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(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, 2019)
전력그룹사 온실가스 배출량
(단위 : 백만톤CO2-eq)
한전 | 한수원 | 남동 | 중부 | 서부 | 남부 | 동서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.4 |
3.3 |
57.6 |
35.8 |
38.0 |
40.4 |
39.5 |
출처 :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, 2018년 배출량